용두산공원

홈으로

기념·유적

이순신장군 동상

충무공동상 이 동상은 위기에 놓인 나라를 구한 구국과 충절의 상징인 충무공 이순신 장군입니다. 장군의 본관은 덕수, 이름은 순신이요, 자는 여해이며, 시호는 충무공입니다. 1545년(인종원년) 4월 28일 서울에서 출생하시여 1576년 (선조9년) 무과에 급제하셨으며, 1591년 유성룡의 천거로 전라좌도 수군절도사에 승진, 수군정비, 군비확충에 전력하셨고, 1592년 (선조25년) 왜군의 침입으로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남해로 침입하는 적의 수군을 옥포, 사천, 당항포, 한산도, 안골포, 웅천, 부산포 등 남해안 일대에서 섬멸하여 제해권을 완전히 장악, 삼도수군통제사에 임명되셨습니다. 이후 전쟁이 소강상태에 들어가자 군사훈련, 군비확충, 피난민의 생업보호, 산업장려 등에 주력하였으며, 1597년 (선조30년) 정유재란 때에는 명량해전에서 적군의 기세를 완전히 꺾으셨습니다. 다음 해 1598년 (선조31년) 12월 16일 일본으로 퇴각하기 위해 노량진 앞바다에 집결한 적함 500여척을 섬멸하던 중 장렬한 최후를 마치셨습니다. 장군은 충성심과 전략에 뛰어난 명장으로, 왜적과 싸운 7년 동안 난중일기와 시조에도 불후의 작품을 남기셨습니다.
설치자
이상용(전 경상남도지사)
재질
동상(청동), 받침대(대리석)
규모
길이 3.8m, 폭 3.8m, 높이12m
시설면적
43㎡
설치연도
1956. 3. 20.
기타사항
조각(김경승), 글(이은상), 글씨(오제봉)

백산 안희제선생 동상

백산 안희제선생 동상 백산 안희제(1885~1943) 백산 안희제(1885~1943) 선생은 3 ·1 운동 직전 기미육성회를 설립, 동아일보 창간주제 중외일보발간 등의 일제의 침략이라는 민족적 위기상황에서 민족교육, 민족기업육성, 항일언론 등 다방면에 걸쳐 국권회복을 위해 국내외에서 활동한 민족독립 운동가입니다. 현재 백산기념관이 있는 자리에 백산상회를 설립·운영하여 독립운동 자금을 마련하였으며, 백산상회를 백산무역 주식회사로 확장하여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국내외 독립운동 단체에 활동자금을 지원하였습니다. 자(子)는 태약(泰若) 호(號)는 백산(白山), 본관(本貫)은 강진(康津)입니다. 백산 선생은 어려서 고향에서 한학을 수학하였는데 특히 문장에 뛰어났으며, 러일전쟁(1904)과 일제의 을사늑약(1905) 강제 체결 이후 백산선생은 계몽주의로 전환하여 국권회복을 위해 신학문을 통한 자주독립 사상을 고취하였습니다. 백산기념관은 1995년 8월 15일 개관하여 부산. 경남지역 독립운동의 교육장이 되고 있으며, 전시장에는 선생의 유품과 당시 구국운동 자료 등 80여점이 전시되고 있습니다. 위치는 용두산공원에서 중앙로 방향 계단을 내려오면 기념관이 있습니다.
설치자
백산 안희제 동상 건립 위원회
설치일자
1989.9.7 (흉상교체 : 1994. 3. 2)
규격
높이 3.5m, 폭 0.7m, 길이 0.9m
구조
청동

용두산공원비

용두산공원비 용두산공원비는 일제 말기인 1944.1.8.에 총독부에서 용두산공원으로 지정고시됨에 따라 이를 상징하고 기념하기 위하여 높이 4.18m, 폭 1.56m, 길이 2.46m의 자연석으로 제작하여 1944. 1. 18. 설치하였습니다. 용두산공원비는 광복로 패선거리에서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올라오면 벽천폭포 전망데크 옆에 공원의 역사를 상징하듯 우뚝 서 있습니다.
설치일자
1944. 1. 8
규모
4.18m, 폭 1.56m, 길이 2.46m

용탑

용탑
재질
용탑(청동), 기단부(화강석·오석)
규모
높이 4.2m, 폭 1.45m, 길이 4.2m
설치년도
1973. 10. 9.(진로주조 기증)
특징
여의주를 움켜쥐고 하늘로 승천하려는 용의 모습은 부산시민의 역동적인 힘을 상징하고 있음
조각
홍익대학교 조각과 최기원 교수
설계
홍익대학교 나상기 교수
부산탑찬가
지은이(이은상), 글씨조각(김충현)